분산 운영체제 시스템
1) 분산 운영체제의 정의
각 호스트에 고유한 운영체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전체 네트워크에 공통적으로 단일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시스템으로 원격에 있는
자원을 마치 지역 자원인 것처럼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식.
CPU * 100개 = 연산능력 ▲ ( 경제성 높음 )
2) 분산 운영체제의 목적
(1) 자원 공유의 증대성 : 각 시스템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용한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음.
(2) 계산(연산) 속도의 향상 : 하나의 일을 여러 시스템에 분산하여 처리하기 떄문에 연산 속도가 향상된다. (ex. 비트코인 체굴기)
(3) 신뢰성 향상 : 하나의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, 다른 시스템은 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떄문에 신뢰도가 향상.
(4) 컴퓨터 통신 : 지리적으로 떨어진 시스템에 통신망을 두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.
3) 단점
- 여러 개의 컴퓨터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안이 매우 취약하다. ***
- 여러 개의 컴퓨터를 하나의 컴퓨터 처럼 운영해야 하므로 소프트웨어 개발이 매우 어렵다.
- 적응성이 하나의 CPU를 사용할 떄보다 떨어진다.
- 에러 발생시 원인 파악이 어렵다.
4) 분산 시스템의 결합.
- 링크 결합 : 두 개의 사이트(컴퓨터, 노드, 교환기) 간에 연결이 잘못되어 발생하는 결함이다.
- 사이트 결함 : 사이트 자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.
- 메시지의 분실 : 통신 회선을 통해 해당 사이트로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시간 지연이나 다른 이유로 메시지를 잃어버리는 결함.
'분산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분산 운영체제 (4) - 정리 (0) | 2018.03.09 |
---|---|
분산 운영체제 (3) - 분산 운영체제의 설계 쟁점 (0) | 2018.03.09 |
분산 운영체제(2) -분산운영체제의 위상 (0) | 2018.03.09 |